연일 광주형일자리와 관련해 각계의 정상화 촉구 성명이 이어지는 가운데 광주광역시가 매년 노총에 지원해 오던 여행경비 예산에 대한 삭감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광주광역시(시장 이용섭) 노동협력관실은 최근 본예산에 반영된 노총에 지원되던 여행경비 1억 5천여 만원에 대해 예산 삭감을 추진 중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이 한국노총(의장 윤종해)측에 알려져 노총이 반발하고 나선 것. 한국노총측은 이 같은 예산삭감에 유감을 표하고 시의회측에 예산안 의결을 강력히 요청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해당 부서인 노동협력관실이 곤란을 격은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별개 부서장인 일자리경제실장이 나서 예산안 삭감안에 대한 관련 부서 질타가 부적정 시비에 휘말렸다. 지난 27일 광주시 일자리경제실장 P씨가 노동협력관 등을 집무실로 불러 광주형일자리에 관련해 ‘정무적 감각’등을 거론하며 노총의 여행경비 예산 삭감안에 대한 강한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행위는 시청 조직상 직위의 월권적 행위에 해당된다. 명백히 일자리경제실과 노동협력관실은 직계상 별개의 부서임에도 일자리경제실장이 월권을 한 것이다. 이 같은 일자리경제실장의 월권에는 답보 상태에 있는 광주형일자리와 관련 한국노총과 각을 세우는 부담감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 더욱이 27일 이용섭 광주광역시장과 한국노총 윤종해 의장이 ‘광주상생일자리재단’설립에 긍정적 논의가 오간 가운데 여행경비 삭감안이 관계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과잉 충성적 행위로 비화되고 있다. 더구나 노동협력관실은 한국노총 산하 휴면노조와 무자격 노조의 전방위 전수조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광주시가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제시하며 노조 길들이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휴면노조와 무자격 노조에 관련해 사법기관에서도 일부 사실을 확인하고 수사에 착수한다는 내용도 전해진다. 광주시가 문제 노조의 과감한 정리를 통해 노조와 각을 세우면서 예산 지원 명분을 삼아 광주형일자리에 노총의 동참을 유도해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노사민정의 화합속에서 멋있게 탄생될 것으로 예상되던 광주형일자리가 노총의 불참 통보로 좌초를 겪고 있는 가운데 양손에 채찍과 당근을 쥐고 노총을 바라보고 있는 이용섭 시장의 속내를 가늠할 수가 없다.
|